분류 전체보기 (44) 썸네일형 리스트형 [패캠/JAVA] 객체 접근 권한 객체 상호간에 접근 제어 필요한 이유 - 객체의 상태정보는 중요하기 때문에 접근을 못하게 해야 된다.(정보은닉) - 객체의 행위정보는 상호작용을 해야 되기 때문에 접근을 허용한다 접근 제어 방법 4가지의 접근제한자(Access Modifier)를 사용 클래스와 클래스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멤버에 접근 제한자를 사용할 수 있다 public: 모든 패키지에서 접근가능 (모든 클래스는 public-> 클래스를 private로 만드는건 그 클래스를 다른 곳에서 쓸 수 없기 때문에 클래스를 만드는 의미가 없다. ) (모든 멤버메서드는 public) private: 모든 패키지에서 접근불가 (자기 자신만 접근 가능) (모든 멤버변수는 private) protected: 상속관계에서 하위클래스에서 상위클래스 접근가능 .. [패캠/JAVA]클래스(모델)의 종류 모델이란?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서 클래스를 역할에 따라 부르는 이름을 모델(Model)이라고 부른다. 역할에 따라 다양한 모델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DTO,VO 클래스(Data Transfer Object, Value Object)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야 될 경우, 데이터를 하나로 수집하는 역할 DAO 클래스(Data Access Object)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VO, DTO)를 저장,수정 하거나 검색,삭제를 하기 위해서 만들어지는 모델(클래스) (CRUD 동작을 가지고있는 클래스,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클래스) 이외의 도움을 주는 클래스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될 동작(기능)을 별도의 클래스로 만들어 놓고 필요할 때 사용하는 클래스 자바에서도 java.util 패키지에 이러한 Utility 클래스.. [패캠/JAVA] 객체, 클래스 객체 구조에 데이터를 담아가지고 다른곳으로 데이터를 이동하기 쉽게 만들어 놓은것 ex) 책이라는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책이라는 자료형이 필요하다 책: BookDTO (아래는 메모리에 만들어질 구조이다) 제목 가격 저자 출판사 페이지수 ISBN 클래스 : 객체를 설계하는 도구 = 모델링 하는 도구 -> 자료형 측면에서의 접근: 새로운 자료형을 만드는 도구 -> 객체지향 측면 : 현실세계에 있는 객체를 객체지향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해 객체의 상태정보(멤버변수)와 행위정보(멤버메서드)를 뽑아서 설계하는 도구 그렇다면 사용은 어떻게 할까? : 모델링 된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객체를 생성해야한다. = 객체를 메모리에 올려야한다. 변수 선언 -> 객체 생성 -> 객체를 변수에 할당 생성.. [패캠/JAVA] 메서드 메서드: 객체가 가지고 있는 동작, 기능 //메서드 정의 접근제한자 리턴타입 메소드명(인수1, 인수2 ...){ 수행코드; return 반환값; } 리턴타입: 수행된 후에 반환하는 결과의 자료형, 아무 결과 반환 안할시에 void씀 메서드의 결과 값은 하나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변수는 데이터를 하나의 형태로 저장한다. 메서드의 이름이 변수 역할을 한다 위의 코드에서 결국 add(a,b)=sum이 된다 => 메서드의 이름이 변수역할을 한다. 매개변수 전달 기법 Call By Value(값 전달) Call By Reference(번지 전달) 번지를 전달해 줌으로써 addArray메서드에서 배열 a에 접근하여 해당 값을 사용가능하다 메서드 오버로딩 : 하나의 클래스 내에서 동일한 이름의 메서드를 여러개 사용할.. [패캠/JAVA] 반복문 for,while for문 일반적으로 반복하는 횟수가 정해진 경우에 사용 초기식은 처음 한 번만 수행 이후, 조건식 -> 반복할 문장 -> 증감식 이 반복적으로 수행됨 for(초기식;조건식;증감식){ 반복할 문장 } for( 변수:컬렉션 ){ 반복할 문장 } //for each문(향상된 for문) while문 먼저 조건식 검사 반복할 문장을 실행 초기식; while(조건식){ 반복할 문장; 증감식; } //조건식이 거짓이면 탈출 do~while문 반복할 문장을 실행한 후에 조건식 검사 반복문 내에 있는 문장을 최소한 한 번 실행하고자 할때 유용 초기식; do { 반복할 문장; 증감식; } while( 조건식 ); [패캠/JAVA] JAVA기초(2) class: 새로운 자료형을 만드는 모델링 도구 배열: 동일한 데이터 여러 개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 배열은 객체로 취급 예시) 변수 선언: int[] a 객체 생성: new int[5] 생성된 객체를 연결: a=new int[5] 한번에 적기 => int[] a = new int[5] 배열이름.length = 배열의 길이를 알 수 있다 배열 초기화 하기 예시) int[] a = {10,20,30,40,50}; or int [] a; a= new int[] {10,20,30,40,50} 2차원 배열: 배열의 배열 int[][] a = new int[행][열] 중요 속성 a.length= a의 행의 갯수 a[0].length = a[0]의 열의 갯수 데이터 입력하기 Scanner java.util.Scan.. [패캠/Github] Github 기초 깃허브: 원격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 깃허브의 업로드 대상: 커밋 깃허브 주소: https://github.com/계정명 깃허브 저장소 주소: https://github.com/계정명/저장소이름 사용하는 이유? 백업, 협업 레퍼지토리(저장소) 만들기 (HTTPS/SSH 해당하는 것에 따라서 선택하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Su-daa/fc-first.git 원격 저장소를 추가할건데 그 원격 저장소를 앞으로 origin이라 부르고 그 원격 저장소의 주소는 다음(https://github.com/Su-daa/fc-first.git)과 같다 git push -u origin main -u: 앞으로 매번 푸시를 할때마다 origin main을 치지 않아도 git.. [패캠/Git] 브랜치 관리하기 브랜치: 버전을 여러 개의 흐름으로 관리하는 방법, 버전의 분기 브랜치로 버전의 분기를 관리하는 방법 1. 브랜치를 나눈다. 2. 각자의 브랜치에서 작업한다 3. 브랜치를 합친다(필요시에) HEAD: 내 레포가 현재 가리키고 있는곳 master 브랜치 = 가장 기본적인, 최초의 브랜치(설정에 따라 main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다) 특정 브랜치에서 작업할때 브랜치 다룰때 사용하는 명령어들 공식문서는 아래와 같이 명령어들의 역할을 말해 놓았다. (git 2.23.0부터 switch와 restore이라는 명령어가 새로나왔다고 한다) checkout: Switch branches or restore working tree files switch: Switch branches restore: Restore wor.. 이전 1 2 3 4 5 6 다음